본문 바로가기

호기심 창고

뜬금 궁금증 5화(혈액형 편)

반응형

인간의 혈액형은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으로 구분됩니다. 그러나 ABO와 Rh 혈액형 이외에도 다른 혈액형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희귀한 혈액형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루현형 (Rhnull 혈액형) - 이 혈액형은 Rh 혈액형이 없는 희귀한 형태로, 세계적으로 약 50명 이내의 인구가 이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글린형 (En(a-) 혈액형) - 이 혈액형은 ABO 혈액형 시스템에서 A 및 B 항원이 없는 희귀한 형태로, 전 세계적으로 약 1% 이내의 인구가 이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코발트형 (Co(b-) 혈액형) - 이 혈액형은 ABO 혈액형 시스템에서 B 항원이 없는 희귀한 형태로, 전 세계적으로 약 1% 이내의 인구가 이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루테스형 (RUT 혈액형) - 이 혈액형은 Rh 혈액형 시스템에서 RhD 및 RhCE 항원이 없는 희귀한 형태로, 세계적으로 약 1,000명 이내의 인구가 이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희귀한 혈액형은 혈액 수혜를 필요로 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혈액 수혜를 받는 환자의 혈액형과 일치하는 혈액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희귀한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은 혈액 기부를 하여 다른 환자들에게 생명을 구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이외에도 CIS AB형이라는 혈액형도 알게 되었습니다.

CIS AB형은 ABO 혈액형 시스템에서 AB형이지만, 특이한 형태의 AB형으로 분류됩니다. CIS AB형은 ABO 혈액형에서 A 항원과 B 항원이 모두 존재하지만, A 항원과 B 항원의 수치가 일반적인 AB형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를 말합니다.

CIS AB형은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견되며, 전 세계적으로 0.01% 이하의 인구가 이 혈액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AB형은 A 항원과 B 항원이 각각 3+ 혹은 4+ 수준으로 존재하지만, CIS AB형은 1+ 혹은 2+ 수준으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CIS AB형은 혈액 수혜를 받을 때 혈액 기부자의 혈액형과 일치하는 혈액을 찾기가 어려워 수혜 환자에게 더욱 큰 도전을 제공합니다.

CIS AB형은 일반적인 AB형과 마찬가지로 혈액형 항원의 출현으로 인해 혈액응고 질환이나 화학 요법의 부작용 등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혈액 수혜를 받을 때에는 항상 전문가의 지도 아래에서 안전하게 처리되어야 합니다.

CIS AB형은 특히 한국인 인구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납니다. 국내에서 진행된 혈액형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인구에서 CIS AB형의 비율은 0.13% 정도입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CIS AB형이 발견되는 비율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CIS AB형이 한국인 인구에서 더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정확히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혼혈화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ABO 혈액형과 Rh 혈액형의 조합이 상대적으로 다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CIS AB형이 한국인 인구에서 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현재는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인종 간 혼혈이 진행되고 있으며, CIS AB형의 분포도 이에 따라 변화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