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호기심 창고

뜬금 궁금증 43화 (쓴 맛 편) 세상에서 가장 쓴 맛을 내는 것은 무엇일까요? 데나토늄 벤조에이트(Denatonium benzoate)는 대부분의 동물과 사람에게 매우 쓴 맛을 내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살충제, 살균제, 항산화제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인간이 섭취하지 말아야 하는 유해한 물질이나 약품 등을 막기 위해, 그리고 아이들이 실수로 섭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의료용품, 청소제, 화장품, 산업용 액체 등에 첨가되어 사용됩니다. (섭취 용도가 아닙니다!!!!!) 또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는 취미용 액체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담배 액상형 보충제 또는 전자담배 액상형 보충제에 첨가되어, 아이들이 실수로 섭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는 매우 쓴 맛을 내기 때.. 더보기
뜬금 궁금증 42화 (철로 편) 기차나 지하철(1~4호선) 을 이용하면서 자갈이 깔려 있는 철로를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철로에는 왜 이렇게 많은 자갈이 깔려있을까요? 철로 위에 자갈이 깔려 있는 첫번째 이유는 철로 위에 자갈을 깔면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자갈은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분산시켜서, 철로와 주변 건물 등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갈은 비와 눈이 내리는 경우에도 물이 철로 위에서 고이지 않도록 하여, 철로 근처의 지하철, 터널 등에서 발생하는 홍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갈은 습기를 흡수하고 배출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철로 위에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철로 자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더보기
뜬금 궁금증 41화 (# 편) 여러분들은 " # " 를 뭐라고 부르세요? 샵? 우물 정? 해시태그?. . . . . . 해시태그라고 읽으신 분들은 10~20대 샵으로 읽으신 분들은 30대 우물 정으로 읽으신 분들은 70대... 사실 어떻게 불러도 상관은 없지만 요즘은 인스타그램나 유튜브,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에서 주로 사용하기에 "해시 태그"로 많이 굳어진 듯 합니다. 제일 먼저 # 을 "해시 태그"로 사용한 곳은 트위터? 당시 트위터 개발자였던 크리스 메시나가 제일 처음으로 해시 태그를 사용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트위터는 이를 거절했었습니다. 그런데 우연한 기회에 샌디애고에서 일어난 산불로 #sandiegofire 라는 태그가 걸리면서 SNS의 해시태그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것을 시작으로 # 은 이제 SNS에서 다양한 정보를 검.. 더보기
뜬금 궁금증 40화 (달력 편) 우리가 사용하는 12개월의 각각의 영어 이름은 어디서 유래 되었는지 살펴봅시다. 12개월의 영어이름은 로마 시대의 달(month) 이름에서 비롯됩니다. 로마인들은 달을 중요한 천문학적 사건과 관련시켜 농사일과 상업적인 활동 등과 연계시켰기 때문에, 각각의 달에 이름을 붙여 구별하였습니다. 1월(January)은 로마신 야누스(Janus)에게 헌정되어 지어졌으며, 2월(February)는 로마인들이 농사를 시작하는 달로 불리웠습니다. 3월(March)은 로마신 마르스(Mars)에게 헌정되어 지어졌으며, 4월(April)은 라틴어 단어 'aperire'에서 유래되어 '열리다, 개방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5월(May)은 로마신 메이아(Maia)나 마이어스(Maius)에게 헌정되어 지어졌으며, 6월(.. 더보기
뜬금 궁금증 39화 (반지 편) 결혼을 하거나 연애하는 사람과 반지를 맞추면 보통 왼손 약지(4번째 손가락)에 반지를 끼웁니다. WHY? 결혼 반지를 왼손 약지에 끼는 관습은 서양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대 로마에서부터 이어져 왔습니다. 왼손 약지에는 결혼의 사랑과 충실을 상징하는 "vena amoris" 베나 아모리스, 라틴어로 사랑의 정맥 이라는 표현입니다. 이들은 사랑에 관한 혈관은 따로 존재하기에 심장을 잇는 손가락이 약지라고 믿었습니다. 이 관습은 그 후에 기독교 세계로 전파되면서 결혼식에서 신랑이 신부에게 반지를 걸어주는 전통이 생겨났습니다. 이때 반지는 왼손 약지에 끼워지게 되었는데, 여기에서도 왼손 약지가 심장과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사랑과 정성이 담긴 맹세를 심장으로부터 전해준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즘.. 더보기
뜬금 궁금증 38화 (조수석 편) 운전석 옆을 조수석이라 부르는 이유? 운전석 옆을 조수석이라 부르는 이유는 역사적인 배경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말을 이용한 군사 작전에서, 일반 병사가 지휘관 옆에 앉아서 지휘관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명령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를 조수라고 부르며, 차량에서도 이 개념이 적용되었습니다. 또 한가지 배경으로는 해양 용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조수는 선박에서 선장의 오른쪽에 위치한 부관을 뜻하며, 이 부관이 선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자리가 조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비슷한 용어인 조타수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조타수는 선박에서 항해를 담당하는 선원 중 하나로, 선박을 항로상에서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항해 및 조종에 대한 업무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조타수는 선장과 함께 항로상에서.. 더보기
뜬금 궁금증 37화 (엘리베이터 편) 일상생활에서 고층 건물을 올라갈 때 자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런데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왜 항상 거울이 있는걸까요? 첫번째, 엘리베이터 안에 거울이 있으면 좀 더 넓은 공간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거울에 반사된 이미지를 보면, 엘리베이터 안의 공간이 실제보다 더 크게 느껴지게 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은 공간에서도 불편함을 덜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두번째, 엘리베이터 안에 거울이 있는 것은 안전상의 이유도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안에 타고 있는 사람들은 서로의 움직임을 살펴보기 쉽기 때문에, 만약 누군가가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거울은 대개 빛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안을 밝게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안이 어두워지는 것을 .. 더보기
뜬금 궁금증 36화 (기회/매몰 비용 편)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은 둘 다 비용 개념으로서,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은 어떤 선택을 할 때, 해당 선택을 하지 않은 경우 얻을 수 있는 대안적인 가치 중에서 포기한 가치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A를 선택하는 대신 B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B를 선택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대학교를 가는 것을 선택했다면, 대학교를 가지 않았을 때 얻을 수 있는 대안적인 가치, 예를 들면 직업 훈련을 받거나 창업을 시작하는 등의 선택지를 포기하게 됩니다. 따라서 대학교를 가는 것은 이러한 대안적인 가치를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시로 만약 내가 카페에서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것을 선택한다면, 그동안에 다른 곳에서 다른..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