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잡학상식

뜬금 궁금증 43화 (쓴 맛 편) 세상에서 가장 쓴 맛을 내는 것은 무엇일까요? 데나토늄 벤조에이트(Denatonium benzoate)는 대부분의 동물과 사람에게 매우 쓴 맛을 내는 화학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살충제, 살균제, 항산화제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인간이 섭취하지 말아야 하는 유해한 물질이나 약품 등을 막기 위해, 그리고 아이들이 실수로 섭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의료용품, 청소제, 화장품, 산업용 액체 등에 첨가되어 사용됩니다. (섭취 용도가 아닙니다!!!!!) 또한, 데나토늄 벤조에이트는 취미용 액체 등에서도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담배 액상형 보충제 또는 전자담배 액상형 보충제에 첨가되어, 아이들이 실수로 섭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는 매우 쓴 맛을 내기 때.. 더보기
뜬금 궁금증 42화 (철로 편) 기차나 지하철(1~4호선) 을 이용하면서 자갈이 깔려 있는 철로를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철로에는 왜 이렇게 많은 자갈이 깔려있을까요? 철로 위에 자갈이 깔려 있는 첫번째 이유는 철로 위에 자갈을 깔면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자갈은 기차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분산시켜서, 철로와 주변 건물 등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갈은 비와 눈이 내리는 경우에도 물이 철로 위에서 고이지 않도록 하여, 철로 근처의 지하철, 터널 등에서 발생하는 홍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갈은 습기를 흡수하고 배출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철로 위에서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철로 자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더보기
뜬금 궁금증 41화 (# 편) 여러분들은 " # " 를 뭐라고 부르세요? 샵? 우물 정? 해시태그?. . . . . . 해시태그라고 읽으신 분들은 10~20대 샵으로 읽으신 분들은 30대 우물 정으로 읽으신 분들은 70대... 사실 어떻게 불러도 상관은 없지만 요즘은 인스타그램나 유튜브,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에서 주로 사용하기에 "해시 태그"로 많이 굳어진 듯 합니다. 제일 먼저 # 을 "해시 태그"로 사용한 곳은 트위터? 당시 트위터 개발자였던 크리스 메시나가 제일 처음으로 해시 태그를 사용하자는 제안을 했지만 트위터는 이를 거절했었습니다. 그런데 우연한 기회에 샌디애고에서 일어난 산불로 #sandiegofire 라는 태그가 걸리면서 SNS의 해시태그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것을 시작으로 # 은 이제 SNS에서 다양한 정보를 검.. 더보기
뜬금 궁금증 37화 (엘리베이터 편) 일상생활에서 고층 건물을 올라갈 때 자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그런데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왜 항상 거울이 있는걸까요? 첫번째, 엘리베이터 안에 거울이 있으면 좀 더 넓은 공간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거울에 반사된 이미지를 보면, 엘리베이터 안의 공간이 실제보다 더 크게 느껴지게 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은 공간에서도 불편함을 덜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두번째, 엘리베이터 안에 거울이 있는 것은 안전상의 이유도 있습니다. 엘리베이터 안에 타고 있는 사람들은 서로의 움직임을 살펴보기 쉽기 때문에, 만약 누군가가 위험한 행동을 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거울은 대개 빛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안을 밝게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안이 어두워지는 것을 .. 더보기
뜬금 궁금증 35화 (병원 편)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면 병원 내부는 항상 하얀색이다 왜 그럴까? 영화나 드라마에서 병원 내부가 항상 하얀색인 것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정신 병원과 같은 공간은 사회적으로 자주 경험되는 부정적인 인식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하얀색은 더욱 강조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공포영화에도 그렇듯 일반적인 병원과는 달리 무섭고 불편한 인식이 있기에 하얀색을 사용한 이유도 있습니다. 먼저, 하얀색은 깨끗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상징하기 때문에, 정신병원 내부에서 사용되는 것은, 환자들에게 치료 환경으로서 최적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영화와 드라마에서는 이러한 상징적 이미지를 강조하여, 치료 과정에서의 안정적인 상태와 깨끗한 환경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둘째, 하얀색은 무의미하고 중립적인 이미.. 더보기
뜬금 궁금증 33화 (더치페이 편) 더치페이의 시작 더치페이(Dutch pay)는 각자가 먹은 만큼의 비용을 나눠서 부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네덜란드인들이 이러한 방식을 선호해 사용하면서 생겨났습니다. 이 용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설은 네덜란드에서 17세기에 동맹국(네덜란드, 영국, 프랑스)이 함께 전쟁을 하면서 생겨난 것이라고 합니다. 이때 네덜란드군은 모든 것을 나누어 가며 함께 식사를 하였는데, 이때 각자가 먹은 만큼의 비용을 부담하여 나누어 가기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영국의 네덜란드 비꼬기? "Dutch"란 단어는 네덜란드와 관련된 의미로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원래는 "Deutsch"(도이치) 란 단어로, 독일을 의미했습니다. Dutch라는 말은 뭔가 '열등하고 .. 더보기
뜬금 궁금증 32화 (키위 편) 키위는 원래 키위가 아니었다?! 키위는 비타민 C와 식이섬유가 풍부한 과일로, 면역력 강화와 소화기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키위는 아침 식사에 먹는 것이 좋은데, 이는 키위가 소화를 돕고 에너지를 공급해줄 뿐만 아니라, 아침 식사를 빠뜨리는 사람들이 먹으면 허기를 덜 느껴서 과식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과일 키위의 유래는 조금 유쾌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1904년, 뉴질랜드에서 살던 뉴질랜드 선교사이자 식물학자였던 이사벨 프레이져(Isabel Fraser)는 중국에서 새로운 식물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났는데 그녀는 양쯔강 유역에서 중국의 "양따오" 양태(楊桃)라는 과일을 발견하고, 이 과일을 뉴질랜드로 가져와서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 과일은 뉴질랜드의 기후와 토양 조건에 적.. 더보기
뜬금 궁금증 25화 (도넛 편) 도넛에 구멍이 뚫려있는 이유는?? 도넛에 구멍이 뚫린 이유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도넛은 과자의 일종으로 반죽을 만들고, 동그랗게 빚은 뒤 가운데를 뚫어서 만듭니다. 이렇게 구멍이 뚫린 도넛은 가운데 부분이 제거되어 고르게 익히기가 쉬워지고, 반죽이 더 잘 구워집니다. 그 결과 생산성이 높아지고, 도넛을 더 빨리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도넛은 1800년대 초반에 유럽에서 시작된 빵의 한 종류로 생겨났습니다. 당시에는 '도우넛(Doughnut)'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여러 가지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나 도넛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미국에서의 역사가 크게 기여했습니다. 1847년 미국의 해군사령관이..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