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기심 창고

뜬금 궁금증 10화(주식투자 편)

반응형

주식 투자를 시작하기에 앞서 용어정리가 기본적인 용어정리와 간단한 분석법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하기 위한 기본 용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식: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권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가 성장하고 이익을 올리면 주식의 가치는 상승합니다.
  2. 주가: 주식의 가격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주가가 변동합니다.
  3. 주주: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주식을 많이 소유할수록 회사의 의사결정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집니다.
  4. 배당금: 회사가 이익을 나누어 주는 것으로, 주주에게 주식 보유 대가로 주로 지급됩니다.
  5. 증권 거래소: 주식이나 채권 등의 증권을 매매할 수 있는 시장입니다. 대표적인 증권 거래소로는 뉴욕 증권 거래소(NYSE)나 나스닥(NASDAQ) 등이 있습니다.
  6. 시가 총액: 회사의 총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값으로, 회사의 주식 시가를 총 발행 주식 수로 곱한 값입니다.
  7. 주식 지표: 주식의 상태와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지표로는 주가 수익비율(P/E Ratio), 주당 배당금(Dividend per share), 시가 총액 대비 매출액(Price to Sales ratio) 등이 있습니다.
  8. 매수와 매도: 주식을 사는 것을 매수, 판매하는 것을 매도라고 합니다.
  9. 주식 포트폴리오: 여러 주식을 소유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주식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업에 대한 위험 분산을 할 수 있습니다.
  10. 주식 투자 전략: 투자자의 투자 목표와 시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투자 전략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가치 투자(Value Investing), 성장 투자(Growth Investing),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등이 있습니다.

 

아래의 지표는 한 기업의 것으로써 영어로 적힌 표현들을 간략히 알아봅시다.

한 기업의 제무재표 분석

  1. PER(P/E Ratio): 주가 수익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PER 값이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ER 값이 높은 기업은 기대 수익성이 높아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2. PBR(Price-to-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1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자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 값이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PCR(Price-to-Cash-Flow Ratio): 주가현금흐름비율은 주가를 주당 현금흐름(Cash Flow)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생성하는 현금 흐름에 대해 주가가 어느 정도로 반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CR 값이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EPS(Earnings per Share): EPS란 기업의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당기기준기에 얼마의 이익을 내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순이익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당 이익이 높을수록 주식 가치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5. BPS(Book Value per Share): BPS는 기업의 순자산 가치를 주식 수로 나눈 것입니다. 즉, 기업이 모든 부채를 갚고 자산을 모두 팔았을 때 주주들이 갖게 되는 가치입니다.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자산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EPS와 BPS는 모두 주당 값으로 표시되는 지표이며, 기업의 재무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PS와 BPS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당 이익이 높다고 해서 기업이 항상 성공적이거나 투자할 가치가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EPS와 BPS를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기업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반응형